목차
안녕하세요. 경제적 자유를 향해 오늘도 한 걸음! 경제 나누기입니다. 오늘은 "달러 환전 없이 원화로 미국 주식 시장의 핵심이죠. S&P500 지수에 투자하는 방법"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.
요새는 환율도 꽤 높기 때문에, 환전 부담이 적지 않습니다. 그래서 환전 필요없이 한화로 완전 저렴하게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듯 한데요.
국내 ETF인 'TIGER 미국S&P500'을 조금 심도 있게 4가지 키워드로 깊게 파헤치려 하는데요. 오늘은 줄글보다는 조금 더 직관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글을 작성해봤습니다. 이게 더 좋은 거 같기도... 어쨌든 여러분의 투자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.
🔍 TIGER 미국S&P500이 뭐길래? 간단 핵심 정리
- 상품명: TIGER 미국S&P500 (티커 360750)
- 운용사: 미래에셋자산운용 (국내 ETF 시장 점유율 1위)
- 상장일: 2011년 5월 (12년 역사)
- 추적 지수: S&P500 (미국 대형주 500개)
- 특징: 원화로 매매 가능, 선물 복제 방식, 연 0.07% 초저비용
- 엄청난 가격적 메리트: 현재가 1주 당 약 22000원, 굉장히 부담 없이 매매가능
📈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TIGER S&P500 ETF의 장점 4가지
1. "한국인 맞춤형" 원화 투자 시스템
- 달러 환전 불필요: 주식 계좌에서 원화로 바로 매수/매도 가능
- 세금 혜택: 국내 상장 ETF라 양도세 면제(해외 ETF는 22%)
- 실시간 거래: 한국 시간 오전 9시~오후 3시 30분까지 장중 호가
- 개인연금과 퇴직연금계좌로도 구매할 수 있음. (해외 ETF인 경우는 불가)
2. 500개 기업을 한 주로 사는 법
- 애플 0.2% + 마이크로소프트 0.18% + 아마존 0.15% 등
- 1주(현재 기준 약 22,000원)만 구매해도 500개 글로벌 기업의 주주 됨
3. 선물 복제의 숨은 장점
- 달러 강세 시 추가 수익: 선물 계약은 환율 변동을 즉시 반영
- 예시: 2023년 S&P500 수익률 10% + 원화 약세 6% → 원화 기준 16% 수익
4. 초보자도 안전한 투자
- 12년 실적 검증: 2011년 10,000원 → 2025년 22,000원(120% 상승)
- 운용사 신뢰도: 미래에셋은 국내 ETF 시장 50% 점유율
- 한국 시장에는 거의 없는 분기 배당금 지급
⚠️ 반드시 체크해야 할 3대 리스크
1. 선물 롤오버 코스트
- 매월 선물 계약 갱신 시 0.03~0.05% 추가 비용 발생
- 10년 보유 시 약 3~5% 수익 감소 → 장기 투자자라면 현물 복제 ETF(ACE)와 비교 필수
2. 유동성 편중 리스크
- S&P500 상위 10개 종목(빅테크)이 30% 차지
- 테슬라·엔비디아 같은 고성장주 비중은 낮아 요즘같은 갑작스러운 AI 열풍에는 반응 느림
3. 환율 역전 피해
- 원화 강세 시 수익률 감소: 2020년 달러 약세(-6%)로 S&P500 16% 상승했으나 원화 기준 10% 증가
📊 TIGER S&P500 ETF vs 해외직접투자(VOO) vs 국내주식 비교
TIGER 미국S&P500 ETF | VOO | KOSPI | |
수수료 | 0.07% | 0.03% + 환전 0.5% | 0.3% |
세금 | 양도세 면제 | 양도세 22% | 양도세 22% |
2023년 수익률 | +14.2% | +12.5% | +11.8% |
편의성 | 원화 실시간 거래 | 달러 전환 필요 | 국내 거래 |
🎯 한국에서 한화로 가장 저렴하게 미국 경제 성장을 먹는 좋은 수단
TIGER 미국S&P500은 한화로 매우 저렴하게 미국 대표 지수에 투자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라 봅니다. 꽤 오래 전부터 거래되었기에, 12년 역사가 검증한 안정성, 원화 거래의 편리함, 초저비용 구조까지. 주식 투자가 처음이신 분부터 해외 주식 고수까지, 오늘 당장 시작할 수 있는 괜찮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.
위 정보가 도움이 되길 바라며, 이 시장/ETF에 투자하시고 싶으신 분들이 있다면, 여러분의 투자 스타일과 위험 감수 능력에 맞는지 충분히 고려해보시고, 필요하다면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보다 안정적인 투자 결정을 내리시길 바랍니다.
다음 시간에는 또 다른 흥미로운 경제 정보로 여러분을 찾아뵙겠습니다. 경제 나누기를 통해 여러분의 경제적 자유와 성장을 위한 여정이 더욱 풍부해지길 기원합니다. 감사합니다.
※ 위 글은 투자에 도움을 줄 수 있을만한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. 이 정보를 통한 투자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.
'투자상품 정보 > ETF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🚀 DIA ETF 완벽 분석: 다우지수에 투자하는 월배당 ETF (feat. DIA vs SPY vs QQQ) (0) | 2025.02.02 |
---|---|
저렴한 가격으로 나스닥에 투자하기 : QQQM, ONEQ ETF 소개 (0) | 2025.02.01 |
나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ETF 비교: QQQ vs ONEQ (0) | 2025.01.31 |
나스닥 100지수 인버스 PSQ, QID, SQQQ ETF 비교 분석, 헤지수단으로서 바라보기 (0) | 2025.01.30 |
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: QQQ, QLD, TQQQ 비교 분석 (1) | 2025.01.28 |